연구 개요

연구배경

  • 고령사회의 건강 위협

    국민의료비와 노인부양비의 사회적 부담감 증가

    2007년 고령화사회(7.3%), 2018년 고령사회(14.3%)

    2026년 초고령사회(20.3%)

    노화로 인한 건강취약성 증가

    90% 이상 복합만성질환 보유, 인지 · 신체 · 심리사회적 기능저하

    특정 질환의 기전, 진단과 약물개발 등 질환극복, 치료 중심의 R&D 편중
    노인의 삶과 의료현장의 니즈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R&D

  • 예방 및 중개 서비스 개발과 실용화

    대표적 건강문제 - 치매, 우울, 허약
    예방 - 조기개입 - 평생관리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돌봄부담 저하

    기술혁신의 가속화로 데이터 기반, ICT 융합 기반 예방과 건강관리 강화로 미래 의료기반 확충

    건강문제 기전 이해 - 중개 촉진 - 실용화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혁신적 간호연구 필요

    학연산의 융합적 접근으로 고령건강 사회문제해결 및 미래 신산업 육성에 기여

세부 과제별 개요 및 목표

  • 1세부

  • 2세부

  • 3세부

  • 치매

    1세부 세부책임자 : 조은희

    치매노인의 증상관리 맞춤형 중재 기술 개발
    • 치매 행동심리증상 예측모델 구축

    • 맞춤 케어 알고리즘 및 프로토콜 개발

    • 맞춤형 중재 기술 실용화 및 케어 전문 인력 양성

  • 우울

    2세부 세부책임자 : 김희정

    노인우울의 통합 관리 IoMT 기술 개발
    • 노인우울 진단적 알고리즘 개발

    • IoMT 통합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증상관리 앱 및 스마트케어 기술개발과 실용화

  • 허약

    3세부 세부책임자 : 이주희

    허약 노인의 손상기전 규명 및 예방 중재기술 개발
    • 허약 발생 생 · 행동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

    • 허약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중개기술 개발 및 평가

    • 허약노인 대상 보건의료서비스 및 지원체계 정책 개발

연구의 추진 전략

추진전략

노인의 인지 - 심리사회 - 신체적 건강 영역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유기적인 융복합 연구로 추진

  • 1단계

    신체 - 인지 - 심리사회를 통합 빅데이터 수집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 거점 고령 건강연구협의체 구성

    산 - 학 - 연 네트워크를 활용한 참여자 registry 구축 및 유지

    IoMT 빅데이터 및 바이오마커 분석 시스템 구축

  • 2단계

    지역사회와 협의하여 시니어 리빙랩을 구축

    지역사회 내 아이디어 탐색, 개발 - 실험 - 평가 전주기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고령건강관련 산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개인용 기기, 맞춤형 컨텐츠 개발

    간호교육혁신센터와의 협업을 통한 온라인 교육모듈 개발

  • 3단계

    특허, 기술이전 및 서비스 상용화 연계

    K-MOOC, Youtube 형태의 교육 플랫폼 기반 교육 콘텐츠 대중화

    Data sharing policy 정착, 신진연구자에게 데이터 공유

    지역사회 서비스와 지원체계 표준화를 위한 정책 제안 및 수립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