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세부 연구

허약 노인의 손상기전 규명 및 예방 중재기술 개발

연구배경

허약(frailty)은 정상적 노화 과정과 비교해 신체 기관의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상태이므로, 장애발생 및 장기요양 예방 측면에서 조기관리가 매우 중요함. 또한 적절한 조기 관리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의료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짐.

65세 이상 노인의 30~50%가 낙상을 경험하며, 낙상으로 인한 신체 손상과 기능장애 발생 시 회복이 어렵고 사망의 주 원인이 되기도 함. 특히 허약 노인은 낙상 고위험군으로 낙상 예방 관리가 필수적임.

최근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일환으로 다양한 보건의료 연계서비스(일상생활 지원-건강, 의료-주거-돌봄・요양) 요구도가 높아짐. 이에 다양한 건강 문제를 가진 허약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이 시급함.

단계별 연구목표 및 내용

허약 발생 기전 규명 및 건강관리 미충족 요구 발굴 연구를 토대로 허약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중재기술을 개발 및 평가하여, 허약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 표준화를 목표로 함.

  • 1단계 기전연구(2020-2022)

    허약 발생 생·행동 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

    1. 포괄적 접근법을 통해 허약과 낙상의 발생 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

    2. 다양한 건강 문제를 가진 노인의 건강관리 unmet need 발굴

    3. 낙상 관련 개인/환경 위험도 평가를 위한 한국형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2단계 중개연구(2023-2025)

    허약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중재기술 개발 및 평가

    1.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리빙랩(living lab) 기반 행동중재 프로그램 개발

    2. 파킨슨-허약 환자를 위한 맞춤형 내비게이터 프로그램 개발

    3. 지역사회 허약 노인을 위한 낙상 예방 프로토콜 개발

  • 3단계 실용화연구(2026-2028)

    허약 노인 대상 보건의료서비스 및
    지원체계 정책 개발

    1. 허약 예방/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가이드라인 확산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

    2. 노인 허약/노인 낙상 모니터링 앱과 관리기기의 개발 및 산업화

    3. 노인 허약/노인 안전을 위한 서비스 표준화 및 지원체계 정책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