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단계 연구(2020 - 2022)

기전연구

연구배경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년기의 인지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특히 노년층에서는 치매, 우울, 허약과 같은 질환들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함

이를 바탕으로, 질병 기전의 이해와 중개 연구,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가 통합된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고령건강과학 연구가 필요함

연구목표 및 내용

1단계는 총 3세부 구성으로 주요 노년기 건강문제인 치매, 우울, 허약 분야를 특화하여 질환의 기전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함

  • 제 1세부

    치매 행동심리증상 예측모델 구축

    1. 치매노인의 바이오마커 및 다양한 건강 및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행동심리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

    2. 머신러닝 분석을 통하여 증상발현의 종류, 시간, 빈도를 예측하는 모델 구축

    3. 장기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요양서비스 제공 시 감정표현 패턴 조사 및 시퀀스(sequence) 분석

  • 제 2세부

    노인 우울 진단적 알고리즘 개발

    1. 빅데이터 기반 노인 우울 증상, 관련 요인(수면, 피로, 제한된 활동)의 종단적 조사 및 관찰 연구, 생체신호 패턴 및 비정상 우울증 패턴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신질환 증상 예측 알고리즘 개발

    2. 거주 환경에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약물적-비약물적 중재의 수요도 조사

    3.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 도구 개발 및 건강관리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 발굴

  • 제 3세부

    허약 생·행동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

    1. 포괄적 접근을 통한 허약/낙상 발생 기전 및 위험요인 규명

    2. 낙상 고위험군, 파킨슨병 환자 등 허약노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미충족 수요(unmet needs)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