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중점연구소 소개

중점연구소 비전과 목표

비전 건강고령사회구현을 위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고령건강과학 연구그룹 육성
중점연구분야
  • 치매

  • 우울

  • 허약

  • Unmet need 발굴

  • 기전규명 및 중개연구

  • 기술개발 및 실용화

추진체계 목표 - 세부 목표 전략
고령인구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한 연구 고도화 고령건강문제 진단 알고리즘 개발
  • 밀착형 학연산관 협력체계
  • 연구-교육-실무현장 선순환 체계
  • 지역사회기반 시니어 리빙랩
  • 연구네트워크 플랫폼 활성화
  • 고령친화산업의 공익성과 수익성 확보
고령친화 스마트 케어 기술개발 및 산업화 고령건강관리 모델 개발
융 · 복합 네트워크 구축과 연구 클러스터 조성 고령건강증진을 돕는 원천기술 확보
고령건강 전문연구자 양성 및 돌봄 인력 교육 훈련 기술개발을 위한 융 · 복합 네트워크 확대
주요성과 SCI 논문 120건 연구인력 135명 특허출원 20건 기술이전 5건
학술대회/세미나 35회 협력연구 30건 투자유치 10건 상품화 5건

단계별 발전계획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STEP.01

    1단계 (2020-2022)

    대학내 고령건강 연구거점

    연구소 거버넌스 개편을 통한 운영 자율권 보장

    국내외 우수 석·박사 학생 적극 유치

    일반대학원 선택과목 개설

    대학본부와 연구소와의 유기적 협조

  • STEP.02

    2단계 (2023-2025)

    국내 고령건강거점연구소

    국내대학 우수 연구소, 연구자 교류

    대학간 겸무교수 제도 활성화

    건강산업과 간호(가제)전공 추진

    국내 연구기관, 학계, 중앙정부 관련 기관들과의 지원체계구축

  • STEP.03

    3단계 (2026-2028)

    세계수준 고령건강 과학 연구소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구축

    해외우수연구자와의 대규모 연구그룹조성

    고령건강과학 온라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특허 및 기술이전, 플랫폼 운영지원

  • STEP.04

    4단계 (2029-)

    자립화 및 글로벌 연구소 모델

    기술이전, 기기의 상품화

    해외우수연구자, 연구기관과 지속적교류협력 확대

    전문연구인력 및 실무전문가배출

    국내외 학연산관 협력체계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