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중점연구소 비전과 목표
비전 | 건강고령사회구현을 위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고령건강과학 연구그룹 육성 | |||||||
---|---|---|---|---|---|---|---|---|
중점연구분야 |
|
|||||||
|
||||||||
추진체계 | 목표 - 세부 목표 | 전략 | ||||||
고령인구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한 연구 고도화 | 고령건강문제 진단 알고리즘 개발 |
|
||||||
고령친화 스마트 케어 기술개발 및 산업화 | 고령건강관리 모델 개발 | |||||||
융 · 복합 네트워크 구축과 연구 클러스터 조성 | 고령건강증진을 돕는 원천기술 확보 | |||||||
고령건강 전문연구자 양성 및 돌봄 인력 교육 훈련 | 기술개발을 위한 융 · 복합 네트워크 확대 | |||||||
주요성과 | SCI 논문 | 120건 | 연구인력 | 135명 | 특허출원 | 20건 | 기술이전 | 5건 |
학술대회/세미나 | 35회 | 협력연구 | 30건 | 투자유치 | 10건 | 상품화 | 5건 |
단계별 발전계획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STEP.01
1단계 (2020-2022)
대학내 고령건강 연구거점
연구소 거버넌스 개편을 통한 운영 자율권 보장
국내외 우수 석·박사 학생 적극 유치
일반대학원 선택과목 개설
대학본부와 연구소와의 유기적 협조
STEP.02
2단계 (2023-2025)
국내 고령건강거점연구소
국내대학 우수 연구소, 연구자 교류
대학간 겸무교수 제도 활성화
건강산업과 간호(가제)전공 추진
국내 연구기관, 학계, 중앙정부 관련 기관들과의 지원체계구축
STEP.03
3단계 (2026-2028)
세계수준 고령건강 과학 연구소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구축
해외우수연구자와의 대규모 연구그룹조성
고령건강과학 온라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특허 및 기술이전, 플랫폼 운영지원
STEP.04
4단계 (2029-)
자립화 및 글로벌 연구소 모델
기술이전, 기기의 상품화
해외우수연구자, 연구기관과 지속적교류협력 확대
전문연구인력 및 실무전문가배출
국내외 학연산관 협력체계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