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 방향 및 기대 효과

연구결과 활용

  • 교육

    • 고령건강관리를 위한
      Best Practice Guideline 제시

    • 고령건강분야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

    • 지역사회 내 노인 및 가족을 위한 자가관리 교육

  • 연구

    • 학연산 협업을 통한
      연구논문의 고도화

    • 고령건강 연구,실무,정책 관련
      학문후속세대 우수신진인력 양성

    • 국제연구 경쟁력 향상을 통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소로 도약

  • 정책 및 국제화

    • ICT중심의
      건강서비스 개발 활성화

    • 지역사회 통합돌봄모델의 효율적 정착

    • 국내/외 우수연구기관 네트워크 확대

  • 실용화

    • 고령 친화 디지털 기기 개발 및 산업화

    • 정밀건강(Precision health)기반의
      개인 맞춤형 중재 상용화

    • 간호서비스 컨텐츠 실용화를 통하여 4차산업시대 경제 가치 및 이윤 창출

학·연·산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인적 교류 확대

겸임(무)교수제도 활성화

  • 의과대학, 공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간호국과의 겸무교수제도 활성화 및 공동교과목 개설 등을 통한 대학 간의 연구 및 교육 협력 추진

  • 고령건강분야 현장 전문가를 겸임교수로 초빙하여 산학연구활성화 및 대학 교육에 실무 경향 충분히 반영

산업체 및 국내 연구소 연구 인력 교류

  • 빅데이터 관련 연구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 서울소재 대학/지자체/노인관련연구기관 및 연구자들과 네트워크 형성

  • 다학제, 지자체, 산업체가 참여하는 시니어 리빙랩 설계

  • 개발된 콘텐츠 및 기술의 특허 및 상품화 도모

해외 우수 연구소 및 대학과의 학자 교류

  •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

  • 해외 우수 연구자와의 대규모 연구그룹을 조성

  • 대학 내 고령건강연구 거점 구축

  • 전국 고령건강 거점연구소로 성장

  • 융복합 연구의 활성화

  • 세계 수준의 고령건강 중점연구소로 도약

지역사회 기여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수요자 중심의 연구기관

  • 고령건강연구 네트워크 구성 및 확장
    • 대학, 지자체, 노인 관련 연구기관 및 연구자들과 고령건강연구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국 단위로 확장

    •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역특성을 반영한 고령건강문제를 파악하여 연구사업의 구심점으로 활용

  • 지역사회경험학습
    • 고령사회와 건강’ ,‘고령건강연구세미나’, ‘연구의 실제’, ‘캡스톤디자인’ 등 지역사회건강 관련 교과목 운영

    • 시니어리빙랩을 활용한 ‘건강한 노화 디자인’ 교과목 개설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가정 및 지역사회의 고령건강문제 개선 활동에 적극 참여

  • 자문 활동 확대
    • 보건소 서비스 기획 및 평가위원활동, 지역사회주민 대상 교육 수행

    • 지자체, 보건소, 노인건강 관련 기관에 대한 연구소 및 교원 단위의 기여 방안 다양화

  • 지역사회 시니어 리빙랩 참여 및 확장
    •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리빙랩 기반 지역사회 시니어 돌봄모델 구축 및 확산

    •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연구팀과 협업하여, 리빙랩 기반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수요를 반영한 건강증진교육 및 운동 프로그램 운영

인력양성

교육과 연구의 연계

김모임간호학연구소, 대학원 및 국외 대학·연구소 네트워크를 활용한
고령건강과학 분야 우수 연구자 및 전문인력양성

  •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다학제 융합연구 수행

    • 온라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연구자 양성 인턴십 운영

    국외 대학 및 연구소 네트워크

    • MOU 대학 공동연구 추진

    • STAY Summer research seminar 운영

    • 국제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 고령건강과학 전문인재 양성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Research Residency 교과목 공동 운영

    • 융합교과목 개발 - '고령친화산업입문'

    • '건강산업과 간호' (가칭) 전공 개설

    간호대학원 노인전문간호 전공

    • 고령건강 관련 상급 간호 이론 및 실습

    • 노인요양시설 감염 예방 및 관련

    • Capstone Program 운영

신진 연구인력 양성

연구인력 활용계획

연구인력의 진로분야  (전임연구인력 45명 석박사 90명 배출)

  • 1

    전국 간호대학의 교수

  • 2

    대학병원등 현장실무 연구자

  • 3

    산업체 연구원 및 기획자

  • 4

    정부 및 공공연구 기관 연구원

  • 5

    창업

  • 6

    해외연구기관 연구자

  • 7

    국내외 대학원 진학

  • 8

    연구비 수주

기대성과

건강고령사회구현을 위한 세계적 연구그룹 육성
Innovative Research
(Cutting edge approach)
Commitment to Education
(Inspiring young scientist)

우수 연구인력 Pool 확보

  • 국외저명학술지 출판 역량

  • 연구비 수주 역량

  • 높은 대학원 입시 경쟁률

  • 선진 연구지원체계

고령건강 서비스 및 기술개발 성취

주관기관의 적극적 투자

  • 연평균 1억원 이상의 현금 투자
    - 연세의료원 및 간호대학

  • 총 307평의 연구공간 투자
    - 연구소 및 의생명연구센터

  • 전임교원 및 연구전담인력의 충원 보장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의 적극적 의지

글로벌 연구협력 네트워크

  • 세브란스 연구중심병원

  • 다학제 네트워크 : 공과대학, 의과대학

  • 40개의 전국간호학연구소 네트워크

  • MOU 기반 해외우수연구소

성공모델의 확산 및 시너지 극대화
135명의 고령건강과학 리더 양성 포함 총 360건의 사업성과 달성